연금보험 개념 완벽 정리
오늘은 연금보험 상품과 연금저축보험에 대해 알아보고, 이 두 상품이 비슷한 용어로 인해 헷갈릴 수 있는 점을 해소하고자 합니다. 처음에는 이 두 상품이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. 따라서 오늘은 이 두 상품의 개념을 자세히 살펴보고, 그들 간의 차이를 비교해보겠습니다.
👉 도움되는 정보 확인
📍 실비보험 보장범위, 청구방식 확인하기
연금보험은 포괄적인 의미와 좀 더 세부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. 포괄적인 개념의 연금보험은 다양한 연금보험 상품을 아우르는 개념이며, 세부적인 의미의 연금보험은 구체적인 상품을 지칭합니다.
세부적인 의미의 연금보험 중 하나는 개인연금의 일종으로, 연금저축(연금저축신탁/연금저축보험/연금저축펀드)과 연금보험으로 크게 나뉩니다.
🔹 거치연금
거치연금은 보험료를 납입한 후, 일정한 거치 기간이 지나면 연금을 받는 상품입니다. 보험료를 납입하는 방법은 일시납과 신축납으로 나뉘며, 일시납은 한 번에 보험료를 납입하는 방식이고, 신축납은 납입 기간과 납입 금액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.
🔹 일시납 즉시연금
일시납 즉시연금은 큰 금액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, 그 돈을 노후에 연금 형태로 활용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입니다. 이 상품을 선택하면 보유한 자금을 한 번에 납입하고, 그에 따라 즉시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
🔹 변액연금
변액연금 상품은 투자된 자산의 운용실적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변동하는 금융상품입니다. 이 상품은 투자에 따른 위험성을 연금가입자가 감수해야 하는 상품입니다.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므로 투자 관련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다음으로 연금저축보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위에서 언급한 연금보험 설명에서도 잠시 언급되었지만, 연금저축보험은 개인연금의 한 종류로서 또 다른 상품입니다. 연금저축상품은 총 3가지로 분류되며, 연금저축펀드, 연금저축신탁, 그리고 연금저축보험으로 구분됩니다.
🔹 세액공제 혜택
연금저축보험에 해당되며, 1년간 납입한 보험료의 일정 비율이 공제되는 혜택입니다. 연금저축보험의 보험료에 대한 세액공제는 연간 한도 내에서 적용됩니다.
🔹 연금 소득세 혜택
연금보험에 해당되며, 연금 수령 시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 혜택입니다.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분리과세로 과세되어 일정 비율의 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🔹 보험 해지 시 세금
연금보험의 경우 보험 해지 시 별도의 세금 부과가 없습니다. 하지만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5년 이내에 해지할 경우 일정 세율로 세금이 부과됩니다.
🔹 세금혜택 조건
세액공제와 연금 수령 시 세금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은 두 상품 간에 차이가 있습니다. 연금보험의 경우 5년 이상 보험료를 납부하고 10년 이상 유지한 경우 만 4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최소 5년 이상 보험료를 납입하고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 연금을 받는 조건을 충족해야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